[history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7:13
본문
Download : [역사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hwp
즉, 효종 2년에 거행된 현종명성후 ≪가례도감의궤(1651)≫의 시녀, 영조 3년에 거행된 진종효순후 ≪가례도감의궤(1727)≫의 보행 내인, 영조 38년에 거행된 정조효의후 ≪가례도감의궤(1762)≫의 함을 머리에 이고 있는 노비 등의 저고리의 형태를 보면 점차 시대가 내려올수록 둔부를 가릴정도로 길고 양옆이 트인 것이 당의와 흡사하다. ≪선조실록≫에는 내명부와 외명부의 간이복으로 당의에 이암(耳 )을 쓰라는 기록이 있따 ≪instance(사례)편람(四禮便覽) 이재가 숙종 초의 관혼상제에 대해 써 놓은 것을 조카가 나중에 출판≫ 관례조에 삼자(衫子)는 속칭 당의(唐衣)라고 하며 길이는 무릎까지 닿고 소매는 좁으며 여자의 상복(常服)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따 그리고 1897년 이왕직에서 기록한 ≪예복≫에서는 대군비ㆍ왕자비ㆍ공비(公妃)의 소례복이 되었으며, 문무관 부인의 소례복은 초록당의에 금박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따 그리고 역대 의궤의 반차도를 보면 당의는 저고리의 형태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당의란 조선시대 궁중과 사대부 여인들이 저고리 위에 덧 입었던 간이 예복으로 모양은 저고리와 비슷하지만 앞과 뒤의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부터 아래로 트여있는 옷이다. 이형상(李衡祥, ∼1733)의 ≪병와집(甁窩集)≫에 외명부(종친의 처와 딸,문무관의 처로서 남편의 직품에 따라 봉직을 받은 사람, 공주ㆍ옹주ㆍ부부인ㆍ군부인)의 옷으로 초록당의라는 말이 나온다. 조선시대의 저고리 유물 중에는 짧은 저고리와 긴 저고리가 있는데 긴 저고리에는 트임이 있따 한편 유물을 보면 15...
[history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자료 제56호 ▒...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자료(資料) 제56호 ▒...
역사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순서
Download : [역사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hwp( 49 )
![[역사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111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C%88%98%EB%B3%B5%EC%B9%A0%EB%B3%B4%EC%84%9D%EB%A5%98%EB%AC%B8%ED%99%A9%EA%B0%88%EB%8B%A8%EB%8B%B9%EC%9D%98%EC%97%90%20%EB%8C%80%ED%95%98%EC%97%AC-1110_01.gif)
![[역사학]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111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C%88%98%EB%B3%B5%EC%B9%A0%EB%B3%B4%EC%84%9D%EB%A5%98%EB%AC%B8%ED%99%A9%EA%B0%88%EB%8B%A8%EB%8B%B9%EC%9D%98%EC%97%90%20%EB%8C%80%ED%95%98%EC%97%AC-1110_02_.gif)



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資料 제56호 ▒ 지정연월일 1979년 1월 23일 ▒ 시 대 조선시대 중기(17세기) ▒ 규격·양식 1점, 복식 ▒ 소 유 자 세종대학교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산 2 세종대학교 박물관 수복칠보석류문황갈단당의는 황갈색 바탕에 수복(壽福)자와 칠보ㆍ석류 무늬를 놓은 비단으로 만든 당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