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valley.or.kr <영화 쓰리 빌보드 report> > artvalley6 | artvalley.or.kr shopping

<영화 쓰리 빌보드 report> > artvalley6

본문 바로가기

artvalley6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영화 쓰리 빌보드 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8:28

본문




Download : 영화 쓰리 빌보드 감상문.docx




‘셰이프 오브 워터’의 스트릭랜드 대령 가족과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경멸’ 대신 ‘경외’의 시각이 느껴진다. 혼자 붕 떠 있으면서, ‘에빙’의 사회적인, 인간적인 굴레들에서 완벽하게 동떨어져 있따 긴 편지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지성은 이 영화와 어울리지 않으며, 젊고 매력적인 아내도, 귀여운 딸들도 너무나 비현실적이다. ‘내추럴 본 킬러’에서 미국의 대표적인 악동이었던 우디 해럴슨이 이제는 ‘신=선 그 자체’인 월러드를 연기하였다. 주인공 ‘엄마’의 한은 때때로 너무나 기계적으로 묘사되어 감정이입이 잘되지 않기까지 한다. 그리고 이 ‘쓰리 빌보드’를 만났다.레포트 > 기타
‘쓰리 빌보드’를 보고 난 뒤 떠오른 세 가지 생각
<영화 쓰리 빌보드 report>
미국인들도 ‘한’이 참 많아 보인다. ‘맨체스터 바이 더 씨’에서는 불의의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의 한을 보았고, ‘문라이트’에서는 거의 제3세계와 같은 환경에서 가족과 주변 환경의 도움 없이 혼자 살아가는 흑인 남성의 한을 보았고,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는 여성 장애인 청소부라는 겹겹의 사회적 차별을 받은 주인공이 ‘어인’이라는 허구의 존재를 통해 그 한을 푸는 모습을 보았다. 맨체스터는 잘 나가는 동부인데, 에빙은 답답한 남부이다. . 훨씬 더 깊은 이야기다. ‘왜 범인을 못 잡느냐, 월러비 서장?’ 하고 물어보는 ‘쓰리 빌보드’는 부조리한 세상에 대해 하소연하는, 신에 대한 인간의 전형적인 푸념이다. 결국, 이 영화의 주제는 ‘개인 차원의 복수는 허망할 뿐이다’는 실존적인 주장에까지 다다른다. ‘적극적 한풀이’는 절대 하지 말라는 얘기다. 빈곤, 학교의 총기 사고, 동성애자 차별 등 사회적인 문제들이 마치 안개처럼 영화를 답답하게 감싸고 있다. 사실 그러니까 한이 더 쌓이는 것인데...





영화 쓰리 빌보드 감상문-9252_01.jpg 영화 쓰리 빌보드 감상문-9252_02_.jp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다. 얼핏 보기에 백인 주인공들의 개인적인 한(가족을 잃은... 그리고 가족 같은 상관을 잃은...)이라는 점에서 ‘맨체스터 바이 더 씨’와 비슷한 것 같지만, 아니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순서
설명




Download : 영화 쓰리 빌보드 감상문.docx( 41 )



영화 쓰리 빌보드, 아카데미상 수상작






‘쓰리 빌보드’를 보고 난 뒤 떠오른 세 가지 생각 미국인들도 ‘한’이 참 많아 보인다. 우리 한국인들만 그런 게 아니라. 작년 이맘때부터 본 ‘아카데미상 영화’들이 하나하나 떠오른다. 우리 한국인들만 그런 게 아니라. 작년 이맘때부터 본 ‘아카데미상 영화’들이 하나하나 떠오른다. 빈곤, 학교의 총기 사고, 동성애자 차별 등 사회적인 문제들이 마치 안개처럼 영화를 답답하게 감싸고 있다. 결국, 이 영화의 주제는 ‘개인 차원의 복수는 허망할 뿐이다’는 실존적인 주장에까지 다다른다. 사실 그러니까 한이 더 쌓이는 것인데...


윌러드 서장은 신이다. 그는 죽음으로써 (자살이든, 아니면 암에 의한 사망이든 간에) 두 주인공 밀드레드와 제이슨을 구원하였으며, 그가 죽은 곳은 하필이면 마구간이다. ‘적극적 한풀이’는 절대 하지 말라는 얘기다. 주인공 ‘엄마’의 한은 때때로 너무나 기계적으로 묘사되어 감정이입이 잘되지 않기까지 한다. ‘우리 곁에 함께 계신’ ‘낮은 곳으로 임하신’ 신이 아니라는 점에서 좀 불만이기는 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이렇게, 비현실적인 세계에 격리된 신의 모습이 훨씬 더 자연스럽게 보이기도 한다. ‘맨체스터 바이 더 씨’에서는 불의의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의 한을 보았고, ‘문라이트’에서는 거의 제3세계와 같은 environment(환경) 에서 가족과 주변 environment(환경) 의 도움 없이 혼자 살아가는 흑인 남성의 한을 보았고,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는 여성 장애인 청소부라는 겹겹의 사회적 차별을 받은 주인공이 ‘어인’이라는 허구의 존재를 통해 그 한을 푸는 모습을 보았다. 훨씬 더 깊은 이야기다. 얼핏 보기에 백인 주인공들의 개인적인 한(가족을 잃은... 그리고 가족 같은 상관을 잃은...)이라는 점에서 ‘맨체스터 바이 더 씨’와 비슷한 것 같지만, 아닐것이다. 맨체스터는 잘 나가는 동부인데, 에빙은 답답한 남부이다. 그리고 이 ‘쓰리 빌보드’를 만났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artvalley.or.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artvalley.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