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23:14
본문
Download : 미생물_1140715.hwp
본 연구해결해야할문제의 바이오인포메틱스 부분은 단순한 소프트웨어의 사용보다는 사업단 모든 분야의 생물정보를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함으로 이분야 연구 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비교적 최근에 이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설치되어, 국내외에서 이 분야 연구 인력 구급에 큰 어려움을 격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미국의 NCBI나 유럽의 EBI 등의 기관에서 전문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2년부터 서울대학교에 생물정보학 협동과정이 설치되었다.
- 극한/해양 미생물 자원 확보
극한/해양 미생물자원의 확보가 매우 취약한 기술분야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日本(일본) 해양과학기술센터 (JAMSTEC) 심해 프론티어 사업단, 미국 Marine Biotechnology Program과 연계한 국제공동 연구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을 진행하며 해양수산부에서 수행중인 심해저광물자원 탐사사업 및 남·북극 연구개발사업과 연계하여 극한/해양環境(환경) 미생물자원을 확보하고자 한다. 단기간의 인력 양성을 위해 사업단 및 참여 연구팀의 관련 연구 인력을 미국의 TIGR, NCBI, 영국의 EBI 등의 교육 program에 파견하여 단기 교육을 실시하며,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바이오인포메틱스 설치 대학과 긴밀히 협조한다.
- High Throughput Screening
분자 재설계 기술을 이용하여 효소 및 단백질의 개량을 수행하는 경우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위한 HTS 시스템의 부재가 문제점(問題點)으로 예상된다 HTS …(drop)
다. 또한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운영중인 남극과학기지, 남서태평양 임해기지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環境(환경)의 미생물자원을 확보한다.
미생물
순서
미생물에관한논문
Download : 미생물_1140715.hwp( 92 )
미생물미생물에관한논문 , 미생물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미생물
레포트/자연과학
,자연과학,레포트
- 바이오인포메틱스의 인력 양성
바이오인포메틱스 분야는 일반 적인 생물학 또는 전산학처럼 따로 분리되어있는 않는, 두 분야를 두루 알아야하는 다학제적(interdisciplnary)인 성격이 강하다. 또한, 이 기존의 유전체 연구 관련 프론티어 사업단과 인력, 소프트웨어, 노하우 등을 상호 교류를 통하여 습득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