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의 `삼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7:26본문
Download : 염상섭의 `삼대`.hwp
또 덕기는 조부나 아버지와는 다른 신세대이지만, 사회주의에 젖어 있는 친구 병화로부터 ‘부르주아’라는 소리를 곧잘 듣는다. 한... , 염상섭의 `삼대`인문사회레포트 ,
줄거리
줄거리
조의관은 재산과 가문 유지에만 힘쓰며, 기독교를 믿어 제사를 거부하는 아들 상훈 내외와 별거하고 젊은 부인 수원댁을 얻어 산다. Japan에 유학하면서 조부와 아버지 사이에서 많은 정신적 갈등을 경험한 덕기는 병화로부터 사회주의자의 딸인 필순을 intro 받는다.
▶ 어휘 및 구절 이해
삼동주 이불 : 속에 솜을 두고 겉을 비단붙이로 댄 이불
주속(주속) : 비단이나 명주 따위
쪽치고 : 문맥상 ‘기가 눌리어 꼼짝 못하고’
부르조아(bourgeois) : 여기서는 ‘부자(부자)’를 속되게 나타낸 말
수작(수작) : 서로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주고받는 말
직성이 풀리다 : 소원이나 욕망이 이루어져 마음이 흡족하게 되다
군자금(군자금) : 군대에서 필요한 자금. 여기서는 ‘어떤 일을 하는 데 소요되는 경비’의 뜻임
피전(pigeon) : 일제 시대 때의 담배 상표
전도(전도) : 엎어져 넘어지거나 넘어뜨림. 위치나 index를 뒤바꿈
위인(위인) : 사람 됨됨이
유한 계급인(유한계급인) : 재산이 넉넉한 계급에 속하는 사람
주판질 : 이해 타산을 따지는 일
되되이 : 한 되 한 되. 낱되로
불찰(불찰) : 잘 살피지 않고 일을 경솔하게 처리함
대거리 : …(drop)
순서
다. 한편 상훈은 신문물을 받아들여 교회의 장로 노릇을 하면서도 술집 출입을 하며, 독립 투사의 딸이자 아들 덕기의 동창인 홍경애와 유치원 교사인 김의경을 첩으로 얻기까지 한다. 한...
줄거리 조의관은 재산과 가문 유지에만 힘쓰며, 기독교를 믿어 제사를 거부하는 아들 상훈 내외와 별거하고 젊은 부인 수원댁을 얻어 산다.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염상섭의 `삼대`.hwp( 25 )






,인문사회,레포트
염상섭의 `삼대`
조의관은 재산과 가문 유지에만 힘쓰며, 기독교를 믿어 제사를 거부하는 아들 상훈 내외와 별거하고 젊은 부인 수원댁을 얻어 산다. 그 후 조의관은 덕기에게 유산 금고 열쇠를 맡기고 원인(原因) 모를 병으로 죽게 된다 덕기의 집안은 재산 문제로 혼란해지고 급기야 몰락하게 된다 한편 사회는 3·1 운동의 실패로 극도의 혼란에 빠지게 되어 사회주의자들 사이에도 불신과 반발이 고조되고 테러 행위가 자행된다 가운데 필순의 아버지도 여기에 희생되는데, 그는 가족을 재산가가 된 덕기에게 부탁하며 죽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