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예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0:18
본문
Download : 순자.hwp
그러므로 공자는 예는 습관과 풍속에 합치해야 하며 법령같이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보다는 감화 방면에 중점을 두었다.
Ⅴ. 結論(결론)
다. 고 볼 수 있으며, 이 공자의 예 사상을 넘어선 이가 바로 순자 이다. 그러므로 순자는 天人之分을 명확히 한다.
예 예와 다른 개념의관계 예의작용 원리 예의함의와 범위 순자 철학
2. 예의 함의와 범위
2. 순자 철학에 있어서 가치의 근원
3. 예의 작용 원리
Ⅳ. 예와 다른 槪念의 관계
예 예와 다른 개념의관계 예의작용 원리 예의함의와 범위 순자 철학 / (순자의 예론 )
Ⅰ. 孔子의 禮는 일종의 감화적 도구이다. 순자는 치국 수신의 예의법도는 성인이 제정한 인간들 스스로 발명한 것이지 천이 만들어 낸 자연 존재 적인 것이 아니라고 하여 천도에 의거하지 않는 人道의 건립 즉 人爲主義를 말한다. 즉 순자는 천지(自然)는 스스로 다스릴 수 없는 까닭에 군자나 성인 즉 인간에 의해 다스려 지는 것이므로 무조건 하늘을 칭송하는 것은 하늘을 이용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한다.
Ⅱ. 순자 예의 철학적 근거
3. 성인, 성왕의 槪念
(1) 천론
4. 禮의 효용
Ⅰ. 孔子의 禮
설명
순서
1. 예의 기원
1. 순자 철학의 개관
순자의 예론
1. 순자 철학의 개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순자 예의 철학적 근거
예 예와 다른 관념의관계 예의작용 원리 예의함의와 범위 순자 철학 / (순자의 예론 )
Ⅲ. 예의 내용
(2) 성악설
Download : 순자.hwp( 92 )
순자에 있어서 천의 槪念은 자연 현상이고 의지가 없는 것이다. 공자의 예 사상은 맹자에 계승되었는데, 공자가 말하는 예의 근본은 바로 仁義이다. 맹자는 예의 근본인 인의를 주장하여 공자의 감화 정신에 대하여 충분한 보충과 발전을 가져왔으나 그 내용은 공자의 예 사상을 넘어서지 못하였다.